<img src="http://blogimgs.naver.com/nblog/ico_scrap01.gif" class="i_scrap" width="50" height="15" alt="본문스크랩" /> DAOC 인코딩 노하우
많은 다옥 동영상들이 있지만, 화질 차이가 심하게 차이날때가 많죠.
이는 인코딩 방법에 따라서 편차가 심한 편입니다.
많은 분들이 가장 애용하는 방법은 역시나 Fraps를 이용하여 캡춰하시고,
Vegas를 써서 편집을 하신 후에 Wmv형식으로 인코딩하시는 방법인데...
문제는 Fraps의 캡춰 영상이 원본보다 좀 어둡게 나온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Vegas를 이용해서 출력하실 경우 이런 부분이 보정이 안되서
원래 화면보다 어두워보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른 인코딩 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준비물 :
Adobe Premiere Pro
Virtualdub (프리웨어)
Xvid 코덱 (프리웨어)
Virtualdub과 Xvid는 네이버에서 검색해도 금방 구할 수 있는 프리웨어들입니다.
일단 Fraps로 캡춰하실 때 Half Size로 캡춰를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럼 먼저 프리미어 프로를 실행하면 창이 뜨면서 3가지 중 하나를 고르라고 하죠.
1.New Project 2.Open Project 3.help
New를 선택하시면 메뉴가 주르륵 뜨는데 여기서 많은 분들이 복잡한 메뉴에
뭘 건드려야할지 모르고 방황하다가 포기하실 때가 많은데 일단 빨간 타원 표시한 곳의
"Custom Setting"을 선택하시면 이런 화면이 나옵니다.
Compressor : none (무압축으로 출력한다는 이야기)
Color Depth : 색상 수를 정하는 것으로 높을수록 화질이 좋습니다.
다 하셨으면 가장 밑의 Name에 저장할 파일 이름을 선택하시고 이제 동영상을 편집하시면 됩니다.
(편집은 알아서 잘 하시리라 믿습니다.^_^;;;)
자~~~그럼 프리미어 프로에서 출력을 하면 무식하게 큰 용량의 동영상이 나와있을 겁니다.(무압축이니까요 ^_^;)
이걸 이제 작은 용량으로 인코딩하는데 버츄얼덥을 쓰는거죠.
이 곳은 인코딩 코덱을 고르는 곳입니다.
여기서 Xvid MPEG-4 Codec을 선택하시고 우측의 configure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럼 다시 설정화면이 뜹니다.
이거저거 설정 잡을 수 있는게 많지만, 너무 복잡하니 핵심적인것 한가지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표시한 곳에 4.00 이라는 숫자가 적혀있는데 숫자를 높게 잡을수록 용량은 줄어들지만 화질은 저하됩니다.
대충 추천 드리는 값은 4.0 , 4.5 , 5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수준으로 고르시기 바랍니다.
아래 바로도 조정가능한데 오른쪽으로 이동시킬수록 화질은 저하되지만 용량은 줄어듭니다.
설정을 다 하셨으면 OK를 눌러주시고 이번에는 사운드 설정을 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