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차대전 연표

공부장/American Study

by 지지에이치 2005. 4. 6. 22:31

본문

반응형
1889년
4월 20일 : 오스트리아의 브라우나우에서 아버지 아로스 히틀러(1837년생)와 어머니 클라라 히틀러(1860년생)와의 사이에서 태어남.
4월 22일 : 히틀러, 세례를 받음.

1892년
8월 : 아버지의 전임으로 인해 일가는 밧사우로 이사.

1894년
3월 24일 : 아우 에드몬트 탄생(1900년 사망).
3월 : 아버지 아로스 히틀러 린쯔로 단신 부임.

1895년
4월 : 히틀러 일가 하진트로 이주.
5월 1일 : 아돌프, 피슬함에 있는 국민학교 입학.

1896년
1월 21일 :누이동생 파우라 탄생(1960년 사망).

1897년
7월 : 아버지 아로스 히틀러가 하펠트의 집을 매각. 일가는 람밧하로 이사.

1899년
2월 : 히틀러 일가 레온딩그로 이사.

1900년
9월 : 린쯔의 실업학교에 입학.

1903년
1월 3일 : 아버지 아로이스, 폐출혈로 사망.
9월 14일 : 이복 누이 앙게라(1883년 생)와 레오 라우발(14세)과 결혼.

1904년
5월 22일 : 린쯔에서 카톨릭의 견신례를 받음.
9월 5일 : 슈타이아 실업학교 전학.

1905년
6월 21일 : 어머니 클라라 히틀러가 레온딩그의 가옥을 매각하여 다시 린쯔로 이주.
9월 16일 : 아돌프 히틀러 슈타이아 실업학교 퇴학.

1906년
5월 7일~6월 6일 : 첫 번째 비인 여행을 함.

1907년
6월 : 화가를 지망하여 비인으로 감.
10월 : 비인 미술대학에 응시했지만 실패.
10월∼12월 : 병상에 있는 모친 크라라 히틀러를 위해 일가의 생계를 맡음.
12월 21일 : 모친 클라라 히틀러 사망.

1908년
9월 : 비인 미술대학을 재차 응시했지만 실패. 다음 해 까지 비인 시내의 하숙집을 전전함.

1913년
5월 26일 : 비인에서 뮌헨으로 이주.

1914년
8월 1일 :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아돌프 히틀러 뮌헨, 오데온 광장에서 러시아에 대한 선전포고에 갈채를 보냄.
8월 16일 : 지원병으로서 바이에른 예비 보병 제16연대에 배속 결정.
10월 28일 : 이불 근교에서 처음으로 전투를 경험.
12월 2일 : 제2급 철십자훈장을 수여.

1916년
10월 5일 : 전선에서 부상.
10월∼12월 : 베를린 근교의 병원에 입원.
12월 3일 : 퇴원하여 뮌헨으로 돌아옴.

1917년
3월 5일 : 프랑스 전선의 제16연대로 복귀.

1918년
3월 3일 : 브레스트-리토프스크조약 조인.
8월 4일 : 제1급 철십자훈장을 수여.
10월 13일~14일 : 야간전투에서 독가스로 눈을 상하게 됨.
10월 21일 : 슈테틴 근교의 병원에 입원.
11월 3일 : 키일 군항에서 수병반란.
11월 9일 : 베를린에서 혁명공화국 선언.
11월 10일 : 독일 황제 빌헬름 2세 퇴위.
11월 11일 : 휴전조약 조인. 제1차 세계대전 종결.
11월 19일 : 히틀러 퇴원. 바이에른 제2보병연대로 전속.

1919년
1월 15일 : 칼 리프크네히트 등이 암살당함.
4월 7일 : 뮌헨에서 바이에른 레데공화국 수립.
5월 : 군부에 의해 진압됨.
6월 28일 : 베르사이유 조약 조인.
8월 11일 : 바이마르헌법 공포.
9월 12일 :군부로부터 독일노동자당(DAP)의 관찰을 명령받고 당집회에 참가.
10월 :당집회에서 연설 재능을 발휘. 같은 당에 입당. 스스로는 7번째 이지만 실제로는 55번째 당원이 됨. 당원번호 555번.

1920년
2월 20일 : 독일노동자당, 즉 국가사회주의 독일노동자당으로 당명 변경.
2월 24일 : 뮌헨의 비어홀 <호프브로이하우스>에서 나치당 집회의 "25개조 강령" 발표.
3월 13일~17일 :베를린에서 카프의 반란이 발생.
3월 13일 : 히틀러, 군대에서 제대함.
12월 17일 :나치당 <페르키샤 베오바하타>紙를 매수. 후에 당 기관지로 변경됨.

1921년
7월 11일 : 히틀러 나치당을 탈당하여 당 지도부의 협박을 받음. 7월 26일 :나치당에 다시 입당함. 당원번호 3680번.
7월 29일 :나치당의 당수가 됨.
9월 10일 :나치당 전투부대 돌격대(SA)의 설립을 발표함. 독일-소비에트간에 라팔로 조약조인.
6월 24일 :독일 외상 리테나우 암살당함.
6월 24일~7월 27일 : 히틀러, 뮌헨 감옥에 수용됨.
8월 : 독일의 마르크화 폭락 시작.
11월 15일 : 나치당 프로이센에서 활동금지 처분을 받음.

1923년
1월 11일 : 프랑스, 벨기에군 독일 루르지방에 진주하여 독일 저항.
1월 27일~29일 : 뮌헨에서 제1회 나치당 전국대회를 개최함. 당원수 2만명.
2월 8일 : 나치당 당 기관지 <페르키샤 베오바하타> 일간지로 변경됨.
11월 8일 : 1922년에 일어난 무솔리니의 "로마진군"에 따라서 히틀러와 루덴도르프등 뮌헨의 뷰르거브로이캘러(Buergerbrauekeller)에서 반란을 일으킴. (뮌헨반란, 비어홀반란) 다음날 시내 장군묘지에서 좌절.
11월 11일 : 아돌프 히틀러 도주중 체포됨.
11월 23일 : 독일 전국에 나치당 해산명령 발표.
12월 26일 : 뮌헨에서 히틀러에 대한 재판 개정.

1924년
1월 1일 : 5년 금고형을 받음. 린츠베르크의 감옥으로 수감되어 옥중에 루돌프 헤스를 만나 "나의 투쟁"을 구술하여 필기하게 함.
12월 20일 : 형기만료 전에 특사로 사면.

1925년
2월 26일 : 나치당 기관지 <페르키샤 베오바하타> 복간.
2월 27일 : 뮌헨에서 나치당 재건집회.
3월 9일 : 히틀러 전기집회에서의 연설로 인해 바이에른 정부로부터 연설금지처분을 받음.
타 지역에서도 할 수 없고 부르턴베르크, 브라운 슈바이크, 튀링엔, 메크렌부르크, 수베링크 에서만 연설 가능하게 됨.
4월 25일 : 힌덴부르크, 에베르트의 후계자로서 대통령으로 선출됨.
4월 30일 : 히틀러, 린쯔시 관청으로부터 오스트리아 국적 이탈허가를 얻음.(1932년 2월까지 무국적)
7월 18일 : <나의 투쟁> 제1권 간행.
11월 9일 : 친위대(SS) 창설.
12월 1일 : 로카르노조약 조인. 같은 해 말, 나치 당원수 2만 7명으로 증가.

1926년
7월 3일∼4일 : 제2회 나치당 전국 당대회. <히틀러 유겐트> 창립.
9월 8일 : 독일, 국제연맹에 가입.
12월 11일 : <나의 투쟁> 제2권 간행.

1927년
3월 5일 : 바이에른에서의 히틀러 연설금지처분 해제.
3월 9일 :히틀러 뮌헨에서의 연설활동 재개.
8월 19일∼21일 : 뉘른베르크에서 제3회 나치당 전국 당대회 개최. 이후 뉘른베르크는 나치당 전국 당대회의 도시가 됨.

1928년
5월 20일 : 재건 후 첫 총선거에서 나치당 12의석(득표율 2.6%) 획득에 머뭄.
6월 28일 : 헤르만 뮐러(35세) 연립내각 성립.
9월 28일 :프로이센에서의 히틀러에 대한 연설금지처분 해제.
11월 16일 : 히틀러, 베를린의 규보르트 파라스트에서 처음으로 연설.

1929년
5월 1일 : 베를린에서 피의 메이데이 일어남.
6월 7일 : 독일 배상에 관한 양안발표.
7월 9일 : 히틀러, 양안 반대운동 개시.
8월 1일∼4일 :제4회 나치당 전국 당대회.
8월 31일 : 독일 양안수락.
10월 :17세의 에바 브라운이 히틀러에게 소개됨.

1930년
3월 27일 : 헤르만 뮐러 내각 총사퇴.
3월 28일 : 브뤼닝 내각 성립.
9월 14일 : 제국의회 선거에서 나치당 107의석을 획득하여 제2당으로 도약(득표율 18.3%).
9월 : 나치당 당원수 13만 도달.

1931년
1월 5일 : 히틀러, 룀을 SA 대장으로 임명. 같은 날 전 제국 은행총재 하르말 샤하트와 회견.
7월 9일 : 독일국가인민당(DNVP) 당수 알프레트 후겐베르크와 첫 회견.
9월 17일 : 히틀러의 질녀이며 애인인 게리 라우바르 (누이 앙게라의 딸. 1908년생) 의문의 권총 자살.
10월 10일 : 히틀러 힌덴부루크 대통령을 알현.
10월 11일 : 나치당, DNVP, 철갑단, SA, SS 등 우익세력을 결집하여 <하르츠부르크 전선> 을 결성.
12월 16일 : 사회민주당, 노동총동맹, 국기단 등, 우익에 대항하여 <철의 전선>을 결성.

1932년
1월 27일 : 히틀러, 뒤셀도르프의 공업 구락부에서 연설.
2월 25일 : 히틀러, 독일국적을 획득.
4월 10일 : 대통령선거에서 힌덴부르크 재선. 히틀러는 차점으로 1천 3백 4십만 표(득표율 36.8%)를 획득.
5월 30일 : 브뤼닝내각 총사퇴.
6월 1일 : 파펜 내각 성립.
7월 31일 : 제국의회 선거에서 나치당 제1당이 되다. 230 의석, 득표율 37.4%. 파펜, 슈라이허와 회견.
8월 13일 : 히틀러, 힌덴부르크 대통령을 알현. 부수상으로서의 입각을 거절. 수반지명을 요구.
11월 6일 : 제국의회 선거에서 나치당 제1당을 유지했지만 196 의석, 득표율 33.1%로 후퇴.
11월 17일 : 파펜 내각 총사퇴.
12월 2일 : 슈라이하 내각성립.
12월 8일 : 좌파의 그레고르 슈트라사, 히틀러에게 슈라이하와의 접근을 저지당하자, 당역원을 사임. 나치당 일대위기를 맞이함.

1933년
1월 4일 : 히틀러, 빌헤름 케프러와의 중개에 의해 은행가 슈레더 저택에서의 파펜 과의 회담에서 反슈라이하에 대한 의견일치.
1월 28일 : 슈라이하 내각 총사퇴.
1월 30일 : 힌덴부널크 대통령, 히틀러를 수상으로 파펜을 부수상으로 임명. 연립내각 설립(히틀러의 정권장악). 나치당으로부터는 후리크(내상)와 괴링(공상)이 입각.
1월 : 나치당 당원수 85만명으로 증가.
2월 27일 : 제국의회 의사당 방화사건.
2월 28일 : 히틀러 정부 "국민과 국가방위를 위한 대통령令"을 공포하여 공산당, 사회민주당의 대탄압과 유태인 배격이 시작됨.
3월 5일 : 제3제국의 최초이며 최후가 되는 제국의회 자유선거 실시. 나치당 288 의석, 득표율 43.9%으로 DNVP와 절대다수를 제압함.
3월 9일 : 공산당이 비합법화되고 나치당기 하켄크로이츠가 國期가 됨.
3월 13일 : 계몽 선전성 신설. 선전상에 괴벨스 취임.
3월 22일 : 뮌헨 근교 다하우에 최초의 강제수용소 설치.
3월 23일 : 제국의회에서 전권위임법(수전법. 전권부여법)이 가결됨. 나치 독재정권의 확립.
4월 1일 : 유태인 상점에 대한 보이콧 개시.
4월 7일 : 유태인을 공직에서 추방함.
4월 21일 : 히틀러, 루돌프 혜스를 총통대리로 임명.
5월 1일 : 나치당 입당 접수정지. 정권장악 이래 160만 명이 입당(당원수 250만 명)했기 때문에 입당 중지를 함.
5훨 17일 : 아돌프 히틀러의 <평화연설>.
7월 14일 : 정당신설 금지법 제정. 나치당이 독일 유일의 정당이 되다. <강제적 동질화> 의 진행.
7월 20일 : 로마 교황청과 정교조약 (콩코루다트)체결. 나치스 독일 최초의 외교 성과.
8월 31일∼9월 3일 : 제5회 나치당 전국 당대회, 대회슬로건 <신념의 승리> 개최.
9월 21일 : 제국의회 방화사건 재판 개정.
12월 23일 : 폰 데어루베에게 사형 판결.
9월 23일 :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서 아우토반 건설에 착수.
10월 14일 : 국제연맹과 쥬네브 군축회의 탈퇴를 발표. 독일군, 재무장 시작.

1934년
1월 26일 : 독일-폴란드 불가침 조약체결.
1월 30일 : 국가개조법 성립. 각 지방의회 폐지.
2월 14일 : 제국 참의원 폐지.
4월 24일 : 민족재판소 설치법 제정 (8월 1일 개설).
6월 14일∼16일 : 히틀러 최초의 국외 방문. 베니스에서 뭇솔리니와 회견.
6월 30일 : 룀사건 발생. SA보다 군부를 우선하고 룀, 슈라이하, 그레고르 슈트라사 등을 숙청함.
7월 20일 : SS를 SA로부터 독립시키고 나치당내 기관으로 변경시킴.
8월 2일 : 힌덴부르크 대총령 서거. 아돌프 히틀러, 대통령 겸 수상인 총통에 취임. 국방군은 히틀러에 대해 충성선서.
8월 19일 : 대통령과 수상의 일원화를 위한 총통제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하여 압도적 지지를 얻음.
9월 4일∼10일 : 제6회 나치당 전국 당대회 실시 (레니리펜슈타르의 영화 <의지의 승리>의 배경)

1935년
1월 15일 : 주민투표 결과, 자아르의 독일 복귀가 결정됨.
3월 10일 : 환희력행단(KDF), 첫 선편 여행.
3월 16일 : 베르사이유 조약의 군사, 군비제한 조항을 파기하고 재군비를 공연화. 일반 병역 의무제를 부활시킴.
6월 18일 : 영국-독일 해군협정 성립. 이로 인해 영국은 독일의 재군비를 승인.
9월 10일~16일 : 뉘른베르크법(독일인의 피와 독일인의 명예보호를 위한 법) 공포. 유태인의 시민권 박탈.

1936년
2월 6일∼16일 : 제4회 동계 올림픽을 개최.
3월 7일 : 로카르노 조약을 파기하고 독일군이 라인란트로 진주. 6월 9일 : 아돌프 히틀러, 독일주재 일본대사 무샤고오지(武者小路)와 회담.
7월 17일 : 스페인 내란 발발.
7월 25일 : 독일 <콘도르 군단>의 프랑코군 지원개시(1939년6월 6일까지).
8월 1일∼16일 : 베를린 올림픽 개최. 한 나라가 같은 해에 하계, 동계 올림픽을 개최. 스포츠의 정치적 이용.
9월 6일∼14일 :제8회 나치당 전국 당대회 개최. 슬로건 <명예 >.
10월 18일 : 제2차 4개년 계획발표.
10월 25일 : 베를린-로마 주축을 성립함.
11월 18일 : 히틀러와 무솔리니, 스페인 프랑코 정권을 승인.
11월 25일 : 독일-일본 防共협정 조인.

1937년
1월 30일 : 제국의회 전권위임법을 2년간 연장. 베르사이유 조약을 무효로 하다.
4월 19일 : 히틀러 유겐트의 <아돌프 히틀러학교> 개교.
4월 26일 : 독일 "콘도르군단" 스페인의 게르니카를 폭격.
5월 1일 : 나치탈 입당 접수정지를 일시적으로 해제. (1939년 5월 1일에 최종 해제).
9월 6일∼13일 : 제9회 나치당 전국 당대회 슬로건 <노동>.
9월 25일∼29일 : 무솔리니 독일방문.
11월 5일 : 히틀러, 군부 정부의 최고 간부를 앞에 두고 장래 전쟁 계획을 개진(<호스바하 각서> 회의).
11월 6일 : 독일-이탈리아 방공협정 조인.

1938년
2월 4일 : 히틀러, 육군 최고사령관 우히츠를 파면. 자신이 육군상으로 국방군을 개편. 국방군 최고사령부(OKW)를 신설. 노이라트를 대신하여 나치 당원 리벤도르프를 외상에 임명. 군과 외무성을 장악.
3월 11일 : 독일군 오스트리아로 진주.
3월 13일 : 오스트리아 합병. 체코 공격작전 <녹색작전> 비밀 지령.
7월 25일 : 유태인 의사의 영업 금지.
8월 17일 : 유태인에 대해 "사라" 또는 "이스라엘"의 이름을 자기 이름에 붙이도록 강요. 이름으로 인해 유태인 식별.
8월 16일 : 베크 참모총장 사임.
9월 5일∼12일 : 영국수상 쳄벌린, 히틀러와 베르히테스 가든에서 제1차 회담.
9월 22일∼24일 : 바트 고데스베르크에서 첸바렌-히틀러 제2차 회담.
9월 27일 : 유태인 변호사의 영업금지.
9월 29일 : 뮌헨회담 개막 히틀러, 쳄벌린, 무솔리니, 다라디에 등, 독일, 영국, 아탈리아, 프랑스의 4국회담.
9월 30일 : 뮌헨 협정 성립. 체코의 주데텐지방의 독일 할양을 결정.
10월 1일 : 독일군 체코의 주데텐에 진주.
10월 5일 : 유태인의 여권 몰수. 이후 "J4" 라고만 인쇄.
11월 9일 : <수정의 밤> 사건발생. 독일의 프랑스주재 대사관원이 11월 7일에 유태인에 의해 살해되었다는 것에 대한 보복 행동. 독일 전국에서 유태인 상점등이 파괴, 유태인 학살.
11월21일 : 일본대사 오오시마 히로시와 회견.
12월 8일 : 집시의 취급에 관한 히믈러의 지시하달.
12월 16일 : 히틀러 <독일모친 명예장> 제정. 아기낳기운동 장려.

1939년
1월 20일 : 제국은행 총재 샤하트, 군수정책을 비판했다고 해임당함.
1월 30일 : 정권장악 6주년 기념식전에서 히틀러, 유태인 전멸의 가능성을 암시함.
3월 15일 : 독일군, 프라하로 진격.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3월 16일 : 보헤미아 모라비아를 독일의 보호령화 함.
3월 21일 : 폴란드에 단찌히 할양을 요구 (26일 폴란드 거부).
3월 22일 : 리투아니아에게 메메르 할양을 요구.
3월 23일 : 독일군, 메메르를 점령.
3월 25일 : 10세에서 18세까지의 청소년의 히틀러 유겐트 입단을 의무화함.
4월 28일 : 독일-폴란드 불가침조약과 독일-영국 해군협정을 파기, 프랑스의 알자스, 로렌 영유를 부정.
5월 22일 : 독일-이탈리아 군사 동맹 <강철동맹> 조약에 조인. 베를린-로마 추축 완성.
7월 19일 : 독일-소련 통상조약 조인.
8월 23일 :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 조인.
9월 1일 : 독일군, 폴란드공격 <전격전> 개시. 단찌히 병합선언. 유럽에서의 제2차 세계대전 시작됨.
9월 2일 : 이탈리아 중립선언.
9월 3일 : 영국, 프랑스 대독일 선전포고.
9월 9일 : 바르샤바 공방전 시작됨.
9월 17일 : 소련군 동쪽에서 폴란드진공.
9월 27일 : 독일군, 바르샤바 점령. 같은 날, 나치스의 테러 억압조치의 통합기관으로서 제국보안본부의 설치.
9월 28일 : 모스크바에서 독일-소련 우호조약 조인. 폴란드 분할. 국경을 획정.
10월 6일 : 히틀러, 영국, 프랑스에 화평 제안.
10월 9일 : 서부전선 공격 준비를 명령.
10월 10일 : 프랑스, 화평제안 거부.
10월 12일 : 영국 화평제안 거부.
10월 12일 : 17일, 오스트리아, 보헤마아, 바이에른의 유태인을 폴란드로 이송개시.
11월 8일 : 뮌헨의 비어홀 <뷰루가브로이케라>에서의 게오르그 엘자의 히틀러 암살 계획 실패.

1940년
4월 9일 : 독일군 덴마크와 노르웨이 공격 개시. 덴마아크 점령.
5월 10일 : 독일군, 서부전선 총공격개시.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벨기에로 진격.
5월 14일 : 독일군, 프랑스의 마지노선을 돌파.
5월 15일 : 네덜란드군 항복.
5월 18일 : 벨기에의 오이펜 마르메디 독일에 복귀.
5월 20일 : 독일군, 도버 해협에 도달.
5월 27일∼6월 4일 : 영국, 프랑스군, 덩케르크에서 철수.
5월 28일 : 벨기에 국왕 항복.
6월 10일 : 노르웨이 항복. 이탈리아, 영국, 프랑스에 선전포고.
6월 14일 : 독일군, 파리에 무혈 입성.
6월 22일 : 퐁피에뉴의 숲에서 독일-프랑스 휴전 협정에 조인. 제1차 세계대전 당시의 휴전협정 조인식을 기차로 된 형태로 재현.
6월∼8월 : 독일 외무성, 유럽 유태인의 마다가스카르 이송을 계획.
7월 11일 : 프랑스 비시정권 수립.
7월 19일 : 히틀러, 소련 공격을 암시함.
8월 15일 : 독일 공군, 영국 본토공습개시.
9월 15일 : 브리튼 전투에서 영국의 제공권을 타파하지 못하고 독일군 패퇴.
9월 27일 : 베를린에서 독일, 이탈리아, 일본 3국동맹조약 조인.
10월 4일 : 히틀러, 브렌나 고개에서 무솔리니와 회담. 대 프랑스, 스페인 문제를 협의.
10월 12일 : 히틀러, 영국본토 상륙작전(바다사자 작전)을 다음해 봄까지 연기하기로 결정.
10월 23일 : 히틀러, 프랑코와 회견. 스페인은 참전하지 않음.
10월 24일 : 히틀러와 페땅의 몬토와르 회담. 대독일 협력정책에 페땅 동의.
11월 12일∼13일 : 모로토프 소련외상, 베를린에서 히틀러와 회담, 결열.
11월 20일 : 헝가리 삼국 동맹에 가입.
12월 18일 : 히틀러, 대소련 <바바롯사 작전> 실행준비를 지령.

1941년
2월 15일 : 롬멜 장군, 북아프리카 방면 군사령관 취임.
3월 2일 : 독일군, 불가리아 진주.
3월 25일 : 유고슬라비아 3국동맹에 가입.
3월 27일 : 마스오가 유스게 외상, 히틀러와 회견.
3월 30일 : 히틀러,바바롯사 작전에 즈음하여 고급장교들에 대해 대소전은 <전멸전>이라고 훈시.
4월 3일 : 북아프리카에서 독일-이탈리아군, 영국군에 승리.
4월 6일 : 독일-이탈리아군, 유고슬라비아, 그리이스를 침공
4월 17일 : 유고군 항복.
4월 23일 : 그리이스군 항복.
5월 10일 : 부총통 헤스, 스코틀랜드로 날아가 화평 제안, 실패.
5월 12일 : 히틀러, 마르틴 보르만을 당관방장에 임명.
5월 20일 : 독일군, 크레타섬 상륙.
6월 22일 : 독소전 개시.
7월 22일 : 독일군, 모스크바 공략.
7월 31일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괴링으로부터 유태인 문제의 최종해결(유태인 절멸)을 위임받음.
9월 1일 : 1세 이상의 유태인에게 노란 별표를 달게 하는 것을 의무화함(점령 지역에서는 1939년 11월 23일부터 실시).
9월 8일 : 독일군, 모스크바를 향해서 대공세 개시.
12월 6일 : 소련군, 모스크바 공방전에서 동계 대공세 개시로 나옴. 독일군 퇴각.
12월 7일 : 일본군 진주만 공격. 같은 날, 히틀러의 <밤과 안개 명령> 북구, 서구 점령지역의 반독일분자를 강제수용소로 송치.
12월 11일 : 독일-이탈리아, 대美 선전포고.
12월 19일 : 히틀러 브라우히츠를 파면하고 자신이 육군 최고사령관이 됨.

1942년
1월 20일 : 반제회의. 나치당, SS관계자, 각성 차관 등 유태인 문제의 <최종해결>법을 실무수준에서 논의.
2월 8일 : 히틀러 슈페아를 군수상으로 임명.
3월 28일 : 영국공군 뤼벡을 공습. 이후 공습 격화.
3월말 : 유태인 아우슈비츠로 이송 개시.
5월 27일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프라하에서 저격당하여 6월 4일 사망.
6월 : 아우슈비츠에서 대량살륙 시작됨.
6월 28일 : 대소련 전선에서 독일군 여름공세 개시.
6월 30일 : 롬멜의 아프리카 방면군, 엘-알라메인 도착.
7월 1일 : 독일군, 세바스토폴 점령.
8월 20일 : 로란트 프라이스라, 민족재판소 장관이 됨.
8월 23일 : 스탈린그라드의 공방전 시작됨.
10월 5일 : 히틀러, 모든 유태인의 국내 강제수용소로부터 아우슈비츠로의 이송을 명령.
10월 23일 : 몽고메리의 영국군, 북아프리카에서 반격 개시.
11월 7일∼8일 : 미국, 영국 연합군 북아프리카에 상륙.
11월 11일 : 비시정권 하의 비점령 프랑스 지역이 점령지역으로 편입되어 독일군, 튀론항을 제외한 프랑스 전 영토를 점령.
11월 19일 : 소련군, 스탈린그라드에서 반격 개시.
11월 22일 : 스탈린그라드의 독일군 포위됨.
11월 27일 : 독일군, 프랑스의 튀론항을 점령.

1943년
1월 13일 : 히틀러, 제국방위를 위해 남녀동원을 명령.
1월 14일∼26일 : 카사블랑카 회담. 처어칠, 루즈벨트, 독일, 이탈리아, 일본 3국의 무조건항복을 토의.
1월 31일 : 스탈린그라드의 독일군 항복.
2월 18일 : 게베루스, 츄보르트파라스토에서 <총력전> 연설. 같은 날 뮌헨 대학의 반나치 저항운동 <백장미> 그룹의 쇼르 형제 체포.
2월 22일 : <백장미> 쇼르 형제 처형.
3월 13일 : 토레스코프 소장의 히틀러 암살 계획 실패.
4월 19일 : 바르샤바의 게토 봉기.
4월 30일 : 유태인의 독일 국적 박탈.
5월 13일 : 북아프리카의 독일-이탈리아군 항복.
7월 25일 : 이탈리아에서 무솔리니 파면, 체포.
9월 12일 : 독일군, 무솔리니를 구출.
11월 28일∼12월 1일 : 테헤란회담. 루즈벨트, 스탈린, 처어칠, 독일의 분할점령과 국경의 획정을 논의함.
12월 22일 : 히틀러 OKW에 나치통합막료부 설치를 명령. OKW에 나치 지도장교를 배속시킴.

1944년
3월 4일 : 미국 공군, 베를린 공습 개시.
4월∼6월 : 그리이스 헝가리아의 유태인 아우슈비츠로 강제 이송함.
6윌 4일 : 독일군, 로마를 포기.
6월 6일 : 연합군 노르망디 상륙작전 개시.
7월 20일 : 슈타우펜베르크 대령 등에 의한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7월 20일 사건> 실패. 육군을 중심으로 고급장교 체포, 처형.
7월 25일 : 히틀러 전쟁으로의 총동원 체제를 게베루스에게 위임. 소위 제2차 <총력전> 선언.
7월 30일 : 히틀러의 <테러 사보타쥬 명령>, 점령지역에서의 저항자 처분의 강화.
8월 1일 : 바르샤바 봉기.
8월 7일∼8일 : 민족재판소에서 7월 20일사건 주모자 재판. 8월 8일, 처형.
8월 19일 : 파리에서 레지스탕스 봉기.
8월 23일 : 독일군, 파리를 포기.
8월 25일 : 연합군, 파리 입성.
9월 3일 : 연합군, 브뤼셀 해방.
9월 4일 : 오오시마 대사, 히틀러와 회견, 대소 휴전을 촉구.
9월 8일 : 독일, V2호에 의한 영국 공격 개시.
9월 11일 : 연합군, 독일 서부 국경을 돌파.
9월 25일 : 히틀러, 16세에서 60세까지의 전국 남자에 의한 <국민돌격대>의 편성을 명령. (10월 18일 발표).
10월 2일 : 바르샤바 봉기 진압.
10월 11일 : 소련군 동프로이센에서 독일 동부 국경 돌파.
10월 14일 : 독일군 아테네 철수. 같은 날 롬멜장군 자살.
10월 20일 : 소련-유고슬라비아군, 베오그라드 해방.
10월 21일 : 아헨, 연합군에 의해 점령된 최초의 독일 대도시가 됨.
11월 1일 : 히믈러, 아우슈비츠에서의 가스살해 중지와 증거 인멸을 명령.
12월 6일 : 독일군, 아르덴느에서 최후의 대공세(발지 대전투) 개시.

1945년
1월 16일 : 히틀러, 서부전선에서 베를린으로 귀환.
1월 17일 : 소련군, 바르샤바를 해방.
1월 27일 : 소련군, 아우슈비츠를 해방. 오데르강 도하.
1월 30일 : 히틀러 최후의 라디오 연설.
2월 4일~11일 : 얄타회담. 스탈린, 루즈벨트, 처어칠, 독일의 전후 처리를 의논하고 프랑스의 점령 참가를 결정.
2월 13일 : 소련군, 부다베스트 해방.
2월 14일 : 연합군, 독일의 드레스덴 대공습 실시.
3월 7일 : 미군, 레마겐에서 라인강 도하. 같은 날, 연합군 쾰른 점령.
3월 19일 : 히틀러의 <네로 명령>. 독일 전토의 파괴. 초토작전을 명령.
4월 13일 : 소련군, 비인 점령.
4월 20일 : 히틀러, 베를린의 총통 방공지하호에서 56회째의 생일을 축하받음.
4월 22일 : 소련군 베를린으로 진입시작. 같은 날 히틀러, 베를린 잔류결정.
4월 23일 : 괴링을 파면.
4월 24일 : 히믈러, 스웨덴을 중개로 미국, 영국에게 단독강화를 신청함.
4월 25일 : 미국, 소련군 엘베강에서 만남. 같은 날 영국 공군 짤츠부르크의 히틀러 산장을 맹폭.
4월 27일 : 연합군, 브레멘 점령.
4월 28일 : 무솔리니, 코모 호반에서 빨치산에게 체포당해 처형당함.
4월 29일 : 히틀러와 에바 브라운 결혼. 개인적, 정치적으로 유서 작성. 괴링, 히믈러의 화평제안으로 당에서 제명. 이탈리아의 독일군 항복.
4월 30일 : 히틀러, 베를린 총통 방공호에서 자살. 후임으로 되니츠 제독을 임명.
5월 7일 : 서부전선의 독일군 무조건 항복.
5월 9일 : 동부전선의 독일군 무조건 항복.
5월 23일 : 히믈러 자살.
11월 20일 : 뉘른베르크 국제군사 재판 개정. 1946년 10월 1일 최종판결.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